낙타 「낙태」를 가리켜 달리 이르는 은어. 어느 여성을 두고 그녀가 여러 차례의 낙태를 했다며 지목하여 비난과 조롱을 하던 사람들이 그로 인해 고소당할 위기에 놓이자, 다만 「낙태」라는 말을 직접 언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낸 단어로서, 이에 비교적 일반적인 활용으로 단어가 정착된 오늘날도 단어의 유래한 때와 같이 「낙태」라는 말을 직접 쓰기 껄끄러울 경우에 에둘러, 은밀하게 사용한다. 단어를 활용할 때는 「낙태」의 의미를 감추고 흡사 동물 「낙타」를 말하는 것처럼 위장하며 「네 번의 낙태」는 「낙타가 네 마리」로, 「낙태를 네 번 했다」는 「낙타가 네 마리나 있다」로 빗대어 이른다. 드물게는 「낙타」를 다시 에둘러 영단어 「camel」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독해에 유의를 요하고 있다. 실사용에 ..
甲 1. 어느 분야에 있어 비길 바 없이 도드라지는 능력을 보이는 자를 희화화하여 이르는 명사. 해당 분야에 지극히 유별나 이목을 끄는 대상을 지칭하고자 널리 사용되며, 흔히는 해당하는 부류가 무엇인지를 앞에 명시하여 「-류[類] 甲」과 같은 형태로 활용한다. 같은 형태로써 널리 쓰이는 용례는 「실언류 甲 안상수」, 「멘탈[mental]류 甲 박지연」 등. 본디 「神」으로 쓰려던 것을 독음이 같은 「申」으로 바꾸어 쓰고, 다시 형태가 유사한 「甲」으로 읽은 것이 점차 새로운 활용으로 정착되어 단어를 형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형을 여러 차례 비꼬아 만들어진 어휘이니만큼 대상에 대한 존경의 뜻을 담아 쓰는 「-느님」과 달리 대상을 조롱하고자 반어법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특히 잦아 독해와 활용 모두에 유의가 ..
고소미 형사고소를 일컫는 은어. 「고소[告訴]」를 비슷한 발음의 과자 「고소미」에 빗대 은유적으로 이르던 것이 일반적인 용법으로 정착되어 단어를 형성했으며, 「먹다」, 「사다」 등 일반적인 먹거리에 어울려 사용되는 용언이 함께 쓰인다. 「너 고소」를 「너 고소미」라고 이르는 등 널리 「고소[告訴]」를 대체하나, 단독으로 쓰이는 대신 용언 「먹다」와 어울려 사용하는 경우가 보다 일반적이다. 뜻에 따라 「고소[告訴]-당하다」는 「고소미를 먹다」로, 「고소[告訴]-하다」는 「고소미를 먹이다」로 바꾸어 말한다. 용언과 함께 쓸 때의 주어로는 고소인보다 피고소인이 널리 사용되고, 이에 「고소미를 먹이다」보다는 「고소미를 먹다」로 활용하는 경우가 잦다. 유사한 뜻을 에둘러 표현하는 변칙적인 활용이 특히 다양하여 독..